다가오는 여름 무더운 날씨를 이겨내기 위해선 에어컨은 필수죠. 하지만 전기세 때문에 골치가 이만저만이 아니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이런 전기세를 할인받을 수 있는 정부의 제도가 있다고 합니다.
에너지 바우처란?

여름뿐만이 아니라 겨울에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도록 난방비를 지원해주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인데요. 이 제도는 에너지 바우처 이용권을 통하여 최대 191,000원의 지원금을 지급하여 해당 이용권으로 전기나 도시가스, 등유, LPG, 지역난방, 연탄 등을 구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현금 지원이 아닌 요금 차감 형식 또는 국민행복 카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지급받는 형식이라고 하네요.
신청방법
신청장소는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거나 온라인신청은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신청대상에 해당하시는 분, 궁금하신분들은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사이트에서 신청하실때는 금융인증서나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신청대상
대상 | 기준 |
노인 | 주민등록 기준 (1956.12.31 이전 출생자) |
영유아 | 주민등록기준(2015.01.01 이후 출생자) |
장애인 | 장애인 복지법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 |
임산부 |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의 여성 |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 |
한부모가족 | 한부모 가족 지원법에 따라 |
소년소녀가정 |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아동분야 지원대상에 해당되는 사람 |
22년도 에너지 바우처 지원사업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하니 수시로 들어가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계시별 요금제

계시별 요금제란 전기 사용량에 상관없이 계절별/시간별에 따라 요금을 내는 제도로 전기를 많이 쓰는 계절/시간엔 비싸게 전기를 적게 쓰는 계절/시간에는 저렴하게 쓰는 것을 뜻합니다.
우리가 흔하게 쓰는 누진세 전기세 계산법은 특정 구간 동안 쓰는 전기요금을 적용하여 많이 쓸수록 요금을 폭탄으로 맞기도 하는데요. 계시별 요금제는 실시간 사용량 확인이 가능해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대가족/다자녀/출산가구 30% 할인

기초생활수급자, 다자녀가구, 출산가구, 5인 이상 대가족, 국가유공자, 장애인은 전기요금 할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해당 월 요금의 30%(16,000 한도) 할인이 적용되며 신청일이 속하는 월의 요금부터 적용, 한도액은 사용일 수에 따라 구분 계산됩니다. 123번으로 전화 신청 혹은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바우처 지원금액
구분 | 1인 세대 | 2인 세대 | 3인 세대 | 4인 이상 세대 |
여름 | 7,000원 | 10,000원 | 15,000원 | 15,000원 |
겨울 | 96,500원 | 136,500원 | 169,500원 | 194,500원 |
계 | 103,500원 | 146,500원 | 184,500원 | 209,500원 |
위 금액은 2022년도 총 지원금액으로 월별로 지원되는 금액이 아닙니다. 겨울 바우처 일부를 여름 바우처로 당겨서 쓸 수도 있고 여름 바우처 잔액은 겨울 바우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바우처에서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 등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지원하는 제도 자세히 알아보실분들은 위 홈페이지에서 다시한번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